수강노트/9개 도메인 프로젝트로 끝내는 백엔드 웹 개발
[Part 1. Spring JPA를 활용한 커뮤니티 피드 서비스 구현] - 1
yuni02
2025. 2. 2. 15:26
Spring JPA를 활용한 커뮤니티 피드 서비스 구현
패스트캠퍼스의 '9개 도메인 프로젝트로 끝내는 백엔드 웹 개발 (Java/Spring)'강의를 수강중이다.
앞으로 복습을 위해서 이렇게 강의를 들을때마다 들은 내용을 기반으로 기억에 남는 내용을 블로그에 적어보려고 한다.
현재 강사님이 community_feed라는 기능을 통해서 게시글과 댓글이 있고 게시글과 댓글을 팔로우 언팔로우 하는 서비스를 구현하면서 Spring의 서비스 계층 분리하는 방법과 도메인으로 넣을건지 서비스로 분리할건지를 설명해주고 있다.
인터페이스가 어디에 필요지 알려주고 이 기능에서는 클래스를 나누는 것이 좋은 방법인지를 설명해줘서 코드의 구조와 설계를 잡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특히 서비스 구현을 한 후에 바로 작성한 기능에 대한 단위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니까 훨씬 이해하기 쉽고 흐름을 이해하기 쉬웠다.
강사님이 intelliJ의 코파일럿을 통해서 단위테스트의 경우 자동완성 기능을 백분 활용하는 모습도 참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