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백엔드 플러스] 2주차 WIL
·
수강노트
문제 이번 주차를 지나며 겪었던 문제가 무엇이었나요? 처음 시작하는 주차이다보니까 어떻게 해야하는지 갈피를 잡지 못했습니다. 새로운 팀원과 새로운 코치님들과 낯설어서 긴장감도 남아있어서 조금 더 교육과정보다는 커리큘럼에 익숙해지는 한 주였습니다. 이번주차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실무에서 거의 써보지 못한 기술이나 기능들을 적용해나갈 것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부분들은 아마 계속 습득하면서 바로 적용하여야 하기에 시간 분배와 목표에 대한 완성도를 자체적으로 조정해나가야할 것 같습니다.시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시도를 하셨나요? 코치분께 질문하고 팀원분께 질문하거나 ai와 구글 서칭, 코치분들의 답변 및 블로그를 참고하여 해결하려고 하였습니다. 해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코치분께 받은 답..
[프레임워크 사전스터디] 1. 회원 관리 및 게시판 서비스 API 테크 스펙
·
수강노트/항해99 - 백엔드 과정 (Java)
간단한 게시물 CRUD API 를 스프링부트 기반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이와 관련된 테크스펙 문서를 아래와 같이 작성해봤습니다.해당 프로젝트 소스의 간략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프로젝트명: sparta-prestudy-simple-board* GitHub Url: https://github.com/yuni02/sparta-prestudy-simple-board 해당 서비스의 기능 요구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더보기전체 게시글 목록 조회 API제목, 작성자명, 작성 내용, 작성 날짜를 조회하기작성 날짜 기준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게시글 작성 API제목, 작성자명, 비밀번호, 작성 내용을 저장하고저장된 게시글을 Client 로 반환하기선택한 게시글 조회 API선택한 게시글의 제목, 작성자명, 작성 날짜, ..
[Part 1. Spring JPA를 활용한 커뮤니티 피드 서비스 구현] - 1
·
수강노트/9개 도메인 프로젝트로 끝내는 백엔드 웹 개발
Spring JPA를 활용한 커뮤니티 피드 서비스 구현 패스트캠퍼스의 '9개 도메인 프로젝트로 끝내는 백엔드 웹 개발 (Java/Spring)'강의를 수강중이다. 앞으로 복습을 위해서 이렇게 강의를 들을때마다 들은 내용을 기반으로 기억에 남는 내용을 블로그에 적어보려고 한다. 현재 강사님이 community_feed라는 기능을 통해서 게시글과 댓글이 있고 게시글과 댓글을 팔로우 언팔로우 하는 서비스를 구현하면서 Spring의 서비스 계층 분리하는 방법과 도메인으로 넣을건지 서비스로 분리할건지를 설명해주고 있다. 인터페이스가 어디에 필요지 알려주고 이 기능에서는 클래스를 나누는 것이 좋은 방법인지를 설명해줘서 코드의 구조와 설계를 잡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특히 서비스 구현을 한 후에 바로 작성한 기능..
[cypress] 회사 프로젝트 cypress 도입기 (1)
·
TDD
현재 진행중인 회사 개발 (차트) 프로젝트에 testcode를 도입하기로 결정이 났다. 나는 cypress 사용이 처음이여서 두려웠다. 나는 어떤 기술을 처음 사용하면 겁이 많이 나는 편이다. 그래서 유데미 강의를 개인적으로 구매해서 들었고 회사의 다른 프로젝트에서 참고한 cypress 코드가 많이 도움이 됐다. 유데미 강의는 영어로만 설명하여 다소 접근성이 떨어지나 최근에는 자동 번역 한글자막 옵션도 추가되어 완벽하게 자연스런 통역은 아니지만 화면을 보면 어느정도 이해를 할 수 있다. 우선 우선순위를 매긴 후 이 중에서 '최상', '상' 만을 고른 것이 160개 정도의 테스트 항목이었다. 나는 이것을 작성 대상으로 추렸고 여기에 테스트 항목을 완료할때마다 체크해서 진행률을 확인했다. e2e 테스트팅 툴..
Git Convention
·
Git
우선 간단하게 자주 사용할 것 같은 것만 적어봤습니다. 아이콘 코드 설명 원문 🎨 :art: 코드의 구조/형태 개선 Improve structure / format of the code. ⚡️ :zap: 성능 개선 Improve performance. 🔥 :fire: 코드/파일 삭제 Remove code or files. 🐛 :bug: 버그 수정 Fix a bug. 🚑 :ambulance: 긴급 수정 Critical hotfix. ✨ :sparkles: 새 기능 Introduce new features. 📝 :memo: 문서 추가/수정 Add or update documentation. 💄 :lipstick: UI/스타일 파일 추가/수정 Add or update the UI and style files...
몽고디비의 다양한 Index
·
수강노트/백엔드 개발자를 위한 한 번에 끝내는 대용량 데이터 & 트래픽 처리 초
본 내용은 패스트캠퍼스의 '백엔드 개발자를 위한 한 번에 끝내는 대용량 데이터 & 트래픽 처리 초격차 패키지 Online.'를 수강하면서 저의 방식대로 정리한 글입니다. 그에따라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pound index와 ESR Rule 이 강의를 들으면서 실제 참여중인 개발 프로젝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추려봤다. 핵심적인 기능은 explain 메서드를 통한 몽고DB쿼리문 성능 측정법이다. 이 방법을 활용해 쿼리문 성능 개선을 위한 인덱스 추가를 고려해볼 수 있다. MongoDB에서 .explain() 메소드는 쿼리 계획 및 실행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메소드의 주요 역할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쿼리 실행 계획(E..
[읽기와 쓰기에 대한 제어] 몽고디비의 Read Preference
·
수강노트/백엔드 개발자를 위한 한 번에 끝내는 대용량 데이터 & 트래픽 처리 초
* 몽고디비는 언젠가는 복제된 데이터와 원본 데이터가 비슷해진다. eventual consistency -> 바로 데이터가 동기화되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부적절. 하지만 바로 보여지지 않아도 되는 서비스면
[Git]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 일치시키는 법
·
Git
가끔씩 로컬저장소의 코드를 삭제하거나 수정했는데 돌리고 싶을때 , 원격저장소와 일치시키면 된다면 아래의 블로그에 나와있는 방법을 쓰면 좋은것 같습니다. 아래의 블로그에 잘 설명해주고 있어 참고했습니다. https://spoit.tistory.com/26
협업툴 JIRA(무료버전)와 GITLAB 연동하는 법 및 3주 사용후기
·
개발툴 연구
JIRA 개발팀에서 프로젝트를 여러명의 개발자들과 함께 진행할 때 이슈관리를 공유할 툴이 필요해서 찾아보다가 지라를 개발쪽에서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JIRA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함께 빠르게 진행하고,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고, 더 효과적으로 빌드하세요" , "애자일 팀이 사용하는 최고의 소프트웨어 도구"라고 홍보하고 있다. JIRA 사용기간 및 지금까지의 사용후기 3월1일부터 사용해서 개발자 2명이서 3주간 사용중이다. 확실히 UI가 깔끔하고 드래그 앤 드랍으로 편리하게 이슈들을 옮길 수 있어서 편리해서 이슈 관리하기에 유용하게 편리하다. 하지만 지라의 많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있고 이 기능을 공부해야 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누군가는 기능에 대함 탐색 및 공부..
[네트워크] TCP/UDP와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
네트워크
참조: 아래의 블로그에서 정리를 너무 잘해주셔서 참조 걸어서 내용 확인하고 있습니다. https://velog.io/@averycode/%EB%84%A4%ED%8A%B8%EC%9B%8C%ED%81%AC-TCPUDP%EC%99%80-3-Way-Handshake4-Way-Handshake [네트워크] TCP/UDP와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TCP / UDP /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velog.io